MENU

동사를 명사화하는 방법! ‘の’와 ‘こと’ 중 무엇을 써야할까요? 1편

동사를 명사화하는 방법! ‘の’와 ‘こと’ 중 무엇을 써야할까요? 1편

안녕하세요! ma-ry입니다 이번에는 동사를 명사화할 때인데요. 일본어로 말할 때 한국 사람들이 어려워할 것 같아서 이에 대한 저의 의견을 말해볼게요 그럼 시작할게요

목차

먼저 2가지의 뉘앙스 차이인데요. 알아봤더니 ‘の’는 주관적인 의견, 오감으로 직접 경험하는 구체적인 동작,상황, 일을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한대요. 반대로 ‘こと’는 추상화 된 개념을 나타내는 것, 객관적인 것,사실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 사용한대요. 이렇게 말하면 좀 어렵긴 한데 일단 이것을 염두에 두고 어떻게 구별하고 있는지 살펴 볼까요

‘の’만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살펴보면 대표적으로는 “뒤에 ‘る,く,かんじる’ 등의 감각 동사가 올 때와 뒤에’つ,手伝てつだう,める’ 등의 구체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동사가 올 때” 라고 설명하는 경우가 많아요. 좀 어렵지 않아요? ‘구체적인 행동 동사’란 아래에서 설명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동사가 아닐까 싶은데요. 이 말을 저도 잘 몰랐어요^^; 그래서 제 생각하기로는누군가, 또는 무언가가 〇〇하는 것을/것이 △△한다 라는 의미가 될 때 ‘것을/것이 부분을 ‘の’로 바꿔서 사용하면 될 것 같아요. 그리고 ‘聞く’의 경우에는 소리를 인식할 때 ‘の’를 쓰는 것 같아요. (퀴즈에서 이 부분을 간단히 설명해 놓았어요!) 자! 이제 예문을 살펴볼까요

사람이 우는 것을 보면 나도 울게 되네. (시각) 
ひといてると、わたしけてくるよT^T

텔레비전에서 (생력된 말→배우, 제품 등) 광고하는 것을 보고 그 제품을 사러 갔어요.
テレビでCMシーエムしている、その商品しょうひんいにきました。

걸어가다가 (생략된 말→누군가 or 차가) 사고 나는 것을 목격했어요.  
あるいていたら、事故じこする目撃もくげきしました

친구가 교실에 들어가는 것이 보였어요.  
友達ともだち教室きょうしつはいってえました

저쪽 하늘에서 번개가 번쩍이는 것이 보여요. 
こうのそらかみなりひかっているえます。

고양이가 울고 있는 것을 듣고 걱정이 되었어요. (청각) 
ねこいているいて心配しんぱいになりました。

그녀가 노래를 부르는 것을 들었어요.  
彼女かのじょうたうたってるきました

아이들이 연주하는 것이 들려왔어요.  
子供達こどもたち演奏えんそうしているこえてきました

옆 방에서 누군가가 이야기하는 것이 들리다.  
となり部屋へやで、だれかがはなしているこえる。|

동물의 발 같은 것이 손에 닿는 것을 느꼈어요. (촉각)
動物どうぶつあしのようなものがれるかんじました

향기가 나는 것이 느껴져요. (후각)
はなかおりがするかります

역에서 친구가 오는 것을 기다리려고요.
えき友達ともだちとうおもいます。

그는 조금 전까지 (생력된 말→어르신,동료 등)짐을 옮기는 것을 돕고 있었어요.
かれはさっきまで荷物にもつはこ手伝てつだっていました。

비가 많이 올 것 같아서 동생이 등산을 가는 것을 막았어요.
あめがたくさんりそうなので、ははおとうと登山とざんめました

어떨까요? 감을 잡을 수 있으면 좋겠어요

다음은 ‘こと’만 사용하는 경우인데 이에 대한 문법 규칙이 있어요. 그래서 이대로 외워야 할 것 같아요. 바로 예문을 살펴볼까요

〜ことが出来る/〜ことが出来ない

그녀는 피아노를 칠 수 있어요.
彼女かのじょはピアノをこと出来できます

지금 회의중이라서 안에 들어갈 수 없어요.
いま会議中かいぎちゅうなので、なかはいこと出来できません

다만 대비하는 문장에서 “~すること出来るけど、〇〇するの出来ない”처럼, 예를 들어”座[すわ]ること(or の 둘 다 가능)出来るけど、立[た]つの(or こと 둘 다 가능)出来ない”라고 대화 경우에서 많이 써요.
그래서 대비하는 문장(대화체)에서 ‘の’를 쓸 때가 있고 이 이외에서는 ‘~ことが出来る/~ことが出来ない’가 된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ことがある/〜ことがない

저 사람을 본 적이 있어요.
あのひとことがあります

가끔 과자를 먹은 적이 있어요.
たまにお菓子かしべることがあります

어머니는 화를 낸 적이 없는 것 같아요.
ははおこったことがないおもいます。

겁이 많아서 공포 영화를 본 적은 없을 거예요.
こわがりなのでホラー映画えいがことです

〜ことになる/〜ことにする

도쿄로 전근을 가게 되었어요.
東京とうきょう転勤てんきんすることになりました

의사를 목표로 하기로 했어요.
医者いしゃ目指めざことにしました

문장의 끝에 올 때

제 꿈은 경찰관이 되는 것이에요.
わたしゆめ警察官けいさつかんになることです

시험에 합격하고 싶다면 공부를 하는 거야.
試験しけん合格ごうかくしたかったら勉強べんきょうをすることだね

‘누군가,뭔가가 〇〇하는 것을/것이 〇〇한다’라는 의미가 될 때는 ‘것을/것이’ 부분을 ‘の’로 바꾼다.
‘~ことが出来る/出来ない’ ‘~ことがある/ない’ ‘~ことになる, ~ことにする’는 문법 규칙이 있어서 이대로 외워야 한다. 다만 ‘~ことが出来る/~ことが出来ない’는 대비하는 문장 경우에는 ‘の’가 될 때가 있다.
문장 끝에 올 때는 ‘こと’가 된다.

다음 문장들 경우에는 어떻게 말하면 될까요? 를 누르면 답이 보여요

지금부터 선생님이 말하는 것을 잘 들어주세요.

정답은 ‘こと,の’둘 다 쓸 것 같아요! いまから先生せんせいはなことをよくいてください/今から先生が話すをよく聞いてください。
둘 뉘앙스 차이인데 ’こと’의 경우 ‘들리다’라는 감각이라기보다는 이야기하는 “내용을 잘 들어라”는 뜻으로 ‘こと’가 잘 어울릴 것 같아요.
반면 ‘の’의 경우 “목소리를 잘 들어라”라는 이런 차이인 것 같아요

유학을 가기로 했어요.

정답은 ‘こと’예요!  留学りゅうがくくことにしました。

야키소바를 먹은 적이 없어서 먹어보고 싶어요.

정답은 ‘こと’예요! きそばをべたことがないので、べてみたいです。

친구가 고향에 돌아가는 걸 바래다주고 왔어요.

정답은 ‘の’예요! 友達ともだち田舎いなかかえるのを見送みおくりしてました。 

제 건강의 비결은 산책하기에요.

정답은 ‘こと’예요! わたし健康けんこう秘訣ひけつ散歩さんぽをすることです。,,,

이번 주제인 동사를 명사화하는 ‘の’와 ‘こと’는 설명하기가 정말 어렵더라고요그래서 일본어를 공부하시는 한국 사람들 입장에서는 정말 사용 방법을 어려워하실 것도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이 들었어요. 이번 1편에서 한 것은 좀 어려운 부분도 있긴 한데 일단 규칙을 외우시고 많이 써보주세요저도 ‘아서/어서’와 ‘으니까’ 등의 사용 방법이 어렵거든요^^; 한국분이 그것을 어떻게 구별해서 사용하시는지, 한국어 언어민분들이 가지는 그 감각을 잡고 싶어요 ㅎㅎ 다음에도 1편에 이어서 ‘동사를 명사화하는 の와 こと’2편을 써보려고 해요기다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제가 한국어 실력이 많이 부족한데도 읽기 어려운 글을 끝까지 읽어주신 분들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여러분 좋은 하루, 좋은 밤 되세요 다음에 뵙도록 하겠습니다 ! 안녕

  • URLをコピーしました!
목차